동양자수박물관

보도자료

강릉 보자기의 경이적인 만물생성도 萬物生成圖(강우방, 월간 민화)

작성일
20-03-03 13:25
작성자
관리자
조회
25,064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미술사학자 강우방의 화조도 특강 ⑧
강릉 보자기의 경이적인 만물생성도 萬物生成圖

강릉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강릉 자수 보자기는 고유의 독창적인 조형을 표현하고 있다.
이 조형은 고차원적 세계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민화 화조도와도 상통한다.
채색분석을 통해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도록 한다.


강릉보자기를 아는 사람은 있지만, 모르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모두가 꽃과 새라고 부르지만, 자수로 만든 실용적인 보자기여서 작품이라 여기지 않습니다. 자수는 수공예품이라 민속품으로 치부하고 말지만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민화라고 부르는 19세기 전반全般~20초에 걸쳐서 출현한 회화는 이미 필자가 밝혔듯이 우리나라 한국 회화사의 금자탑이라 할 수 있지요. 고구려 무덤 벽화에서 아무도 풀지 못했던 기호 같은 조형들을 필자가 처음으로 해독하여 해석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고려불화와 조선불화를 처음으로 완벽히 해독하였으며 그런 다음에 민화가 비로소 보여 해독하고 해석할 수 있을 만큼 민화는 2,000년 전통을 머금고 있기에 아무나 범접할 수 있는 그림이 아닙니다.

화조도는 단지 꽃과 새 그림이 아닌 고차원의 작품

제 연재에서 다루는 화조도 민화는 궁중회화의 이른바 화조도와 주제가 같아 함께 다루고 있지만 표현방법은 전혀 다르고, 아무것도 모르는 서민이 그린 그림에는 상징이 결여되어 있어서 그런 그림과도 구별하여야 합니다. 민화는 화원 출신이나 화승이 일정한 고정된 규범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하게 자신의 표현의지를 마음껏 발휘하지만 민화의 표현원리는 반드시 지키는 그림들을 말합니다. 그런데 요즈음 궁중회화와 함께 다뤄 큰 혼란이 일어나고 있으며, 궁중회화 같은 대작을 모사해야 공모전에서 큰 상을 받고 당장 민화작가라 불립니다. 그러나 1918년 10월부터 지금까지 연재해온 <민화 화조도>는 단지 꽃과 새 그림이 아니라 <만물생성도萬物生成圖>라는 고차원의 그림임을 증명해 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민화와 비교하는 또 다른 장르가 있으니 바로 <꽃과 새> 자수입니다. 자수로 만든 병풍을 보면 주제는 민화 화조도와 똑같습니다. 다만 그림이 아니어서 함께 다루지 않을 따름입니다. 그러나 <강릉 자수 보자기>는 다릅니다. 강릉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하고 독창적인 조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 까닭은 알 수 없는 수수께끼입니다. 지금까지 화조도만 다루어오다가 강릉 자수보자기를 보니 이미 전에도 알아보았지만 매우 충격적인 조형으로 다가왔습니다. 이 강릉 자수 보자기는 해외의 유명화가들, 예를 들면 파울 클레(Paul Klee)의 작품들과 비교해보아도 조형과 구성 면에서 보다 뛰어납니다.

민화는 세기말의 한국회화

회화사 전공자들은 민화를 읽어내지 못합니다. 이들은 주로 조선시대 문인화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문인화는 우리나라 전통과 관계가 그리 깊지 않지요. 조선 문인화는 그 당대의 중국의 문인화와 관련이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고구려 벽화, 고려 불화, 조선불화를 전혀 읽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민화를 읽어내어 해석할 수 없습니다. 회화사 전공자들이 쓴 민화에 대한 논문을 읽어본 적이 있습니까. 흔히 작가를 몰라서 회화에서 다를 수 없다고 말합니다. 그러면 뛰어난 화원 출신의 그림은 작가 이름을 쓰지 않았다고 다루지 않을 것인가. 그 수많은 위대한 고려와 조선의 도자기는 장인의 이름을 모른다고 다루지 않을 것인가. 훌륭한 금속공예품은 어찌 할 것인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조각품들 가운데 하나인 통일신라시대 석굴암의 조각과 건축은 조각가의 이름도 건축가의 이름도 모른다고 한국 미술사에서 다루지 않을 것인가.
최근 중국에서 펴낸 미국과 유럽에 산재해 있는 고려불화를 집대성해서 책을 냈는데, 책 이름이 <高麗畵(고려화)>입니다. <고려불화>가 아닙니다. 이미 필자도 그런 주장을 해왔으나 그 책 이름을 보고 깜짝 놀랐지요. 이미 중국은 미술사학이 어떤 학문인지 아는구나 생각했지요. 서양의 시스틴 성당의 천정벽화를 보고 기독교회화라고 부르지 않고,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를 보고 기독교 조각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필자는 석굴암의 조각과 건축을 불상조각이나 불교사찰이라고 부르지 않고 그저 한국의 조각과 건축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한국 불교조각사>가 아니라 <한국 조각사>입니다. 민화도 마찬가지로 민화가 아니라 <세기말의 한국회화>라 불러야 합니다. 대한제국의 멸망과정을 거쳐 일본 강점기시대를 거치는 암울한 시대에 전 국민이 향유했던 매우 고차원적인 형이상학적인 회화는 세계에 유례가 없는 독창적 표현형식과 고차원의 상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몰라서가 아니고 참으로 알고 보니 불가사의한 그림들입니다.

강릉 자수 보자기 채색분석

강릉 자수 보자기가 하나 있습니다. 무엇이든 쌀 수 있는 보자기이지만, 아무 물건이나 싸는 보자기가 아닌 듯싶습니다. 아마도 딸이 시집갈 때 혼수품을 쌌던 보자기가 아닌가 합니다. 그렇듯 어머니의 정성이 한 땀 한 땀 서려 있는 고귀한 작품입니다. 그러나 여러 색으로 수놓아 아름답지만 복잡하여 눈으로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참으로 치밀하게 색실을 골라서 꼼꼼히 수놓은 특별한 보자기입니다. 요즘 문득 보자기가 만병임을 알아차리고 크게 놀란 적이 있지만 그 설명은 훗날 하기로 합니다. 채색분석해 보아야 이 자수보자기의 조형이 어떤 원리에 따라 전개되어 가는지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교하게 백묘를 떠야 합니다. 그 백묘를 올리니 여러 분들도 채색분석해 보세요.

① 우선 시작점을 찾아야 합니다. 중심에 작은 원이 보입니다.
바로 보주입니다! 그 보주로부터 사방팔방으로 영기문이 뻗쳐 나갑니다.
② 먼저 한 줄만 채색분석해보기로 합니다. 중심의 보주로부터 면面으로 된 제2영기싹이 연이어 생겨납니다.
③ 그런데 사방으로 뻗쳐나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므로 제2영기싹도 면面도 넓이지고 크기도 커지므로
치밀하게 계산하면서 영기문을 수놓아야 합니다.
마침내 그 영기문 끝에서 하나의 작은 영조靈鳥가 영기화생靈氣化生합니다.
이처럼 영기화생의 광경을 분명히 보여주는 조형이 있을까요.
그래서 민화가 어렵기도 하지만 영기화생을 위대한 조형으로 정확히 표현하고 있어서 항상 감탄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또 다른 둥근 모양은 무엇인지 아직 밝히지 못하고 있다. 씨방 같이 보입니다만. 잘 모르겠습니다.
④ 중심의 보주로부터 뻗쳐 나오는 영기문 두 줄을 더 채색분석해보면 더욱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영기문의 전개와 똑같습니다. 끝부분에서 앞에서처럼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왼쪽으로부터 큰 조형으로 수놓은 무량보주가 솟아나와 이 영기문이 보주목임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 영기문 끝에서는 영조가 영기화생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 영기문도 왼쪽부터 영조가, 그 다음에는 크기가 작은 두 영조가 마주보면서 영기화생하고 있습니다.

⑤ 그러면 전체를 채색분석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주에서 사방팔방으로 뻗쳐나가는 영기문은 모두 8개입니다.
그런데 사방으로 큰 무량보주를 표현하여 전체에 질서를 갖추게 합니다.
8갈래의 영기문은 다시 작은 3갈래로 갈라지는데 그 갈라지는 곳마다 영조와
무엇인지 모를 나비 같은 모양, 그리고 둥근 씨방 같은 모양이 영기화생합니다.
참으로 놀라운 조형으로 단지 꽃과 새가 아닙니다.
보주로부터 발산하는 강력한 영기문에서 만물이 화생하는 만물생성도萬物生成圖입니다.
⑥ 채색분석한 것을 반전시키면 분위기나 느낌이 다르고 환상적입니다.
바로 만다라로 변신합니다.
⑦ 그러면 면으로 된 영기문으로 선線으로 바꾸어 보면 더욱 분명해집니다.
우선 부분을 그렇게 바꾸어 보겠습니다.
그러면 영기문의 전개원리를 좀 더 쉽게 파악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니 여러분도 그려보시기 바랍니다.

⑧ 전체를 선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러니까 중심의 보주에서 8개의 보주목이 화생한 광경을 이렇게 표현했고
끝의 가지마다 다른 모양의 영조들이 깃들고 있고, 나비 모양들도 날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바라보면 이렇게 설명할 수 있지만, 필자의 이론으로 바라보면
보주에서 나온 영목靈木은 보주목이 되어 만물이 화생하는 만물생성도가 되는 것입니다.
⑨ 그렇게 채색분석한 것을 반전시키면 더욱 파악이 쉽고 훨씬 환상적입니다.

강릉 보자기는 평범한 보자기가 아닙니다. 보주 안에 가득 찼던 수놓은 일체가 보주 밖으로 뻗쳐 나와 만물이 생성하는 장관을 이루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자수그림은 분명히 민화 작가가 밑그림을 그려줬음에 틀림없습니다. 필자는 세계미술을 섭렵해 온지 오래 되었으나 이런 고차원의 조형과 상징을 표현한 작품을 본 적이 없습니다. 이런 경이적인 조형은 아무나 생각해 내거나 그리지 못합니다. 강릉지방의 이름 감춘 민화 작가가 밑그림을 그려주었다고 확신합니다.

.............................................

동양자수박물관 소장유물인 강릉수보 1점에 대한
채색분석자료가 강우방원장님의 아래 블로거 주소
에 올라와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hyangacademy (강릉보자기 3)


목록
전체301개, 현재9/전체21페이지 rss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예술체육대학과 산학협동 MOU체결 관리자 2025-04-02 304
공지 강릉에서 만난 전통-강릉의 숨은 명소 강릉자수박물관- 관리자 2025-03-19 586
공지 어느 강릉여인의 강릉자수 이야기 관리자 2025-03-11 661
공지 근현대자수전시회: 2024 올해의 우수 미술전람회 1위로 선정 관리자 2025-02-07 926
공지 위대하 흔적, 강릉자수(오죽헌시립박물관 특별전:2021. 6)) 관리자 2025-01-12 1103
공지 일본의 세계적인 텍스타일 디자이너 미나기와 아키라 전시회 관리자 2024-12-25 1325
공지 조선시대 규방문화에 표현된 색채특성(전통자수) 관리자 2024-12-16 1370
공지 한국 고미술의 특징에 대한 이해-조선시대- 관리자 2024-12-15 1348
공지 박세혜작가 X 강릉시민작가 협업작품기증식 개최(한국박물관협회… 관리자 2024-10-30 1674
공지 강릉색실누비 관현 중요 학술논문 발표(한북문화학회지) 관리자 2024-10-25 1751
공지 박세혜(기획) X 강릉시민작가 협업작품 기념식 개최(강원일보) 관리자 2024-10-24 1747
공지 강릉자수의 해외나들이 관리자 2024-10-22 1807
공지 전통공예에 실용성과 현대적 미감을 관리자 2024-09-22 2019
공지 강릉자수와 우주목(민화전문가 정병모교수) 관리자 2024-08-25 2348
공지 오죽한옥마을 강릉자수체험 관리자 2024-08-20 2321
공지 한국근현대자수전: 국립현대미술관 전시투어(빅혜성학예사) 관리자 2024-07-14 3018
공지 이술관/박물관에 전시된 작품을 감상하는 법 관리자 2024-07-05 3064
공지 강릉시청 SNS 소개(강릉자수박물관) 관리자 2024-06-20 3204
공지 2024 제 2회 강릉차문화축제 개최(강릉 오죽 한옥마을) 관리자 2024-05-24 3553
공지 자수속에 담긴 어머니의 마음(법정스님의 글) 관리자 2024-05-15 3660
공지 미국 CNN이 바라 본 한류의 원천:전통문화의 힘 관리자 2024-05-09 3613
공지 한국 근현대자수전시회 개막소식(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관리자 2024-05-01 3764
공지 ‘전통누비’ 대중화, 김해자 누비장 보유자 별세 관리자 2024-04-16 3987
공지 한국서 새로운 예술을 찾는다(뉴욕모마 부관장) 관리자 2024-04-15 3813
공지 강릉자수 야야기(시나미 매거진: 강릉문화재단)소개 관리자 2024-02-17 4604
공지 근대자수 연구논문소개 관리자 2024-02-11 4491
공지 공예가치와 공예정책 관리자 2024-02-01 4731
공지 보자기 초대전 참여작가의 제작과정(동영상) 관리자 2024-01-29 4748
공지 KBS 강릉 라디오 정보쇼(24.01,24) 관리자 2024-01-24 4695
공지 이칠용선생(한국공예가협회회장)의 방문 관리자 2024-01-09 4853
공지 유희순명장 자수보자기 초대전(서울문화투데이, 쌈지사랑) 관리자 2023-11-28 5359
공지 오죽헌 상생발전을 위한 6개기관 협약식 체결(강원일보) 관리자 2023-11-08 5388
공지 유희순자수명장 초대전 소식(강원일보) 관리자 2023-11-08 5431
공지 동아시아 예복 "예" 특별전시회(정영양자수박물관) 관리자 2023-10-13 5839
공지 박세혜 우드아트 전시회(Old but New) 개최안내 관리자 2023-10-07 5863
공지 최유현 자수명장(국가무형문화재 제 80호) 전시회개최 안내 관리자 2023-09-19 6037
공지 한.중.일 문화장관회의 전주선언문 채택 관리자 2023-09-08 6042
공지 김순덕 전통자수명장 전승 발표회 관리자 2023-08-12 7663
공지 색실누비(김윤선 명장)회원전 소식 관리자 2023-08-12 7733
공지 민예운동의 선구자, 야나기 무네요시 관리자 2023-07-30 7856
공지 강릉 세계합창대회 기념 "강릉자수의 미" 지역작가 조대전 관리자 2023-06-30 7920
공지 자수박물관 소개(솔향강릉,강릉시 계간 소식지, 2023.여름호) 관리자 2023-06-19 8201
공지 전통의 새로운 활로(일본의 사례) 관리자 2023-06-05 8249
공지 유희순 자수명장님의 방문 관리자 2023-05-22 8442
공지 강릉자수가 살아 숨쉬는 아름다운 테마여행 관리자 2023-05-20 8565
공지 김환기 회고전(호암미술관) 관리자 2023-05-16 8775
공지 김영희 자수명장님의 방문 관리자 2023-05-11 8829
공지 강릉자수박물관, 이색적인 체험으로 즐기는 힐링여행 관리자 2023-05-03 8693
공지 자수, 보자기 전시유믈 특강(서울공예박물관) 관리자 2023-04-10 9207
공지 규방공예의 위대함 관리자 2023-04-08 8968
공지 강릉수보, 현대로의 여행 관리자 2023-04-07 9207
공지 강릉자수박물관의 꿈 관리자 2023-04-03 9168
공지 강릉에서 가볼만한 박물관 소개(강원도민일보) 관리자 2023-03-31 9215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9204
공지 강릉자수박물관 소개 최신 유투브 영상 관리자 2023-02-20 9495
공지 "동트는 강원"에 올린 추억의 글 관리자 2023-02-11 9614
공지 진품 명품 고미술이야기(산문집, 출간안내) 관리자 2023-01-25 9768
공지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환수 관리자 2023-01-09 9677
공지 "강릉자수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필요"(강원일보) 관리자 2022-11-24 10680
공지 강릉 문화자원을 활용한 니트 패션문화상품 개발 -강릉 수보 … 관리자 2022-11-23 10556
공지 김순덕 전통자수장 전승발표회 관리자 2022-11-17 10761
공지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강릉자수박물관 MOU체결 관리자 2022-11-15 10964
공지 강릉자수박물관 재개관기념 전시장 소개 유투브 영상 관리자 2022-10-29 10830
공지 강릉자수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용문, 한복문… 관리자 2022-10-28 11047
공지 김현희 자수장과 제자들의 강릉 나들이전 관리자 2022-10-20 11019
공지 재개관소식(KBS 제 1 방송국 " 라디오 전국일주") 관리자 2022-10-20 11323
공지 강릉규방공예가 일본에 소개됩니다 관리자 2022-10-12 11055
공지 강릉전통자수 문양을 활용한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05 11159
공지 자수보자기 명장 김순덕선생, 김현희선생, 색실누비 명장 김윤선… 관리자 2022-08-19 12033
공지 강릉자수박물관 재개관 소식(강원도민일보) 관리자 2022-08-03 12050
공지 KBS 강릉방송국 라디오정보쇼(안엉갑 관장 인터뷰) 관리자 2022-07-14 12321
공지 [강원일보 발언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4805
공지 대한민국 문화의 별, 이어령교수 별세하다 관리자 2022-02-26 15327
공지 자수박물관 근황소식(강원도민일보) 관리자 2022-02-16 15312
공지 동양미술을 아는것, 결국 우리 자신을 아는 길! 관리자 2022-02-14 15325
공지 강릉자수의 생활화운동(1) 관리자 2022-02-14 15231
공지 강릉색실누비 우수성과 기원소개(아모레 설화수" 매거진) 관리자 2022-01-18 15718
공지 자수박물관 근황소식(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 관리자 2022-01-13 15919
공지 자수박물관 근황소식(MBS 강원영동 라디오 동서남북) 관리자 2022-01-13 15795
공지 강릉의 문화재, 강릉자수(오죽현박물관특별전)소개 관리자 2022-01-02 16280
공지 지역문화를 담다,강릉자수(최근 블로그 소개) 관리자 2021-12-30 16186
공지 강릉색실누비의 디자인가치(황수홍교수, 한국디지안학회) 관리자 2021-12-26 16344
공지 최현숙작가님(강릉자수 서포터스회원)의 신간소개 관리자 2021-12-26 16163
공지 강릉시와 자수박물관 유물매각 난항(강원도민일보) 관리자 2021-12-07 16549
공지 KBS 강릉방송국 라디오(영동포커스): 자수박물관의 근황소식 관리자 2021-12-04 16717
공지 강릉자수의 조형적 의미를 다시 생각한다(미술사학자 강우방) 관리자 2021-11-26 16600
공지 강릉자수 작품 전시·판매하는 청년들(강원일보) 관리자 2021-11-18 16748
공지 강릉자수 기반 강릉청년작가 공예디자인 기획전시(프레시안) 관리자 2021-11-15 16939
공지 강릉자수문양을 활용한 공예상품소개 관리자 2021-10-31 16885
공지 강릉자수를 알리는 강릉시민들(KBS News) 관리자 2021-10-30 17088
공지 일본의 프랑스자수작가 국내 전시회 (자료)소개 관리자 2021-10-24 16977
공지 강원도 양구 백자연구소 소개(전통과 현대의 조화) 관리자 2021-10-17 16930
공지 MBC 강원영동(라디오 동서남북) 강릉자수기획전시 심층인터뷰(문… 관리자 2021-10-13 17115
공지 강릉자수 아름다움 담은 전시회 "풍성" 관리자 2021-10-05 17147
공지 강릉자수연구소(일명: 강릉자수 스토리랩 GIV, 문현선대표) 관리자 2021-09-30 17120
공지 제주예나르공예박물관 소개(양의숙관장) 관리자 2021-09-24 17175
공지 강릉자수, 한복에 담다(강릉원주대 패션디자인학과 전시회) 관리자 2021-09-01 17553
공지 이어령교수님, 서울대졸업식(2021 후기) 축사전문 관리자 2021-08-27 17641
공지 김치호의 "고미술을 찾아서" 관리자 2021-08-09 17890
공지 쌈지사랑 인스타그램: 강릉자수 소장유물소개 관리자 2021-06-29 17670
공지 동양자수박물관 소개(자유여행가 쿠니, 파랑 블로그소개) 관리자 2021-06-08 17959
공지 박물관, 소장품 인수·대여 공지(강원도민일보) 관리자 2021-05-22 18257
공지 자수박물관 최민대표 인터뷰(MBC 강원영동 라디오 동서남북) 관리자 2021-05-15 18051
공지 강릉자수, 한복에 담다(한복공모전 선정) 관리자 2021-05-02 18071
공지 자수박물관 문제해결 답보상태(강원도민일보), 강를자수지키기(… 관리자 2021-03-16 18744
공지 문체부, 문화예술, 사회적기업공모 관리자 2021-02-10 19122
공지 강릉자수 텀블백 트로젝트 가동(강릉자수 서포터스) 관리자 2021-02-10 19327
공지 [강원도민일보] 강릉자수 서포터스, 모금운동전개 관리자 2020-12-31 19807
공지 MBC강원영동 <라디오 동서남북> 강릉자수서포터즈 문현선 … 관리자 2020-12-25 20264
공지 [강원일보]강릉자수 지키기 프로젝트 가동 관리자 2020-12-24 19955
공지 강릉시의회(2020 2차 회기말)윤희주의원 자수박물관 관련 5분 자… 관리자 2020-12-19 20518
공지 [언중언]문화 강국(강원일보) 관리자 2020-12-03 20572
공지 [강원도민일보] 강릉서포터즈, 자수박물관 존속 청원 시에 전달 관리자 2020-11-12 20455
공지 [강원일보] 폐관 위기 동양자수박물관 존속 목소리 커져 관리자 2020-11-12 20718
공지 [강원일보 발언대]동양자수의 수난 관리자 2020-11-11 20697
공지 (MBC TV 영동방송, 강원 365, 7번국도) 존폐위기에 놓인 동양자… 관리자 2020-11-08 20667
공지 (기사글)강릉색실누비 작가 이덕은(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 수상)… 관리자 2020-11-04 21545
공지 [기사글] 강릉시의 미래도시 이미지조사 관리자 2020-10-27 22377
공지 [기사글] 강릉 자수의 특별함 담은 2色 전시회(강원일보) 관리자 2020-10-21 22341
공지 [기사글] “국내 유일 규방공예 박물관 존속시켜야”(강원도민일… 관리자 2020-10-20 22220
공지 [강원일보 발언대] 강릉 동양자수박물관 존속돼야 한다 관리자 2020-10-16 22373
공지 [영상] 강릉자수 알리기 "강릉 싸람들" 동영상소개 관리자 2020-10-13 22312
공지 [기사글] “강릉 대표 규방문화공간 지켜달라”(강원일보) 관리자 2020-10-12 22329
공지 [영상] MBC 강원영동(TV), 강릉자수 서포터스 시명운동시작 관리자 2020-10-06 22148
공지 [기사글] “국내 유일 동양자수박물관 폐관 안된다”(강원도민일… 관리자 2020-10-05 21567
공지 [기사글] MBC강원영동: 동양자수박물관 존속되어야 관리자 2020-10-04 20538
공지 [라디오] MBC 강원영동(라디오 동서남북) 동양자수박물관 시사… 관리자 2020-09-28 21052
공지 [영상] 뷰티풀 강릉, 오감여행 무사히 마쳐 (폐막영상) 관리자 2020-09-28 20546
공지 [영상] 강릉자수, 이제는 브랜드화해야 관리자 2020-09-25 20832
공지 코로나 이후 생태적 전환 관리자 2020-09-15 21022
공지 "강릉자수" 사라질 위기, 지역자원화해야 한다 관리자 2020-09-14 20911
공지 “강릉자수 도시 브랜드화 필요”(강원일보) 관리자 2020-09-14 20624
공지 강릉자수를 도시브랜드 해야(김복자 시의원) 관리자 2020-09-12 21580
공지 [라디오] MBC강원영동 <라디오 동서남북> 동양자수박물관 … 관리자 2020-08-25 20993
공지 '강릉자수 서포터스' 신르네상스 꿈꾼다(강원일보) 관리자 2020-08-24 21434
공지 [영상] 2020 박물관 미술관 주간 기념 개막식 오프닝 소개 관리자 2020-08-15 22599
공지 강릉시 문화도시지원센터 강릉자수 서포터즈 관리자 2020-08-15 22719
공지 동양자수박물관 뷰티풀 강릉 오감여행 행사소개 관리자 2020-08-12 21747
공지 강릉자수 서포터스 탄생(강원일보) 관리자 2020-06-30 22189
공지 강릉동양자수박물관 여행 프로그램 공모전 선정 관리자 2020-06-03 22714
공지 [영상] KBS TV 강원도가 좋다(강릉자수의 매력속으로) 관리자 2020-04-21 24027
공지 경이적인 강릉수보자기의 채색분석(강우방 미술사학자) 관리자 2020-04-13 24382
공지 조선시대 민보의 사회문화적 가치: 조각보와 강릉수보를 중심으… 관리자 2020-03-07 25054
공지 강릉 보자기의 경이적인 만물생성도 萬物生成圖(강우방, 월간 민… 관리자 2020-03-03 25065
공지 "강릉색실누비" 학술논문 "한복문화"학회지에 게제 관리자 2020-02-01 24615
공지 [영상] 예술로 승화된 강원의 규방문화, 강릉자수(MBC 강원영동) 관리자 2020-01-18 24311
181 [강원일보 발언대] 강릉 동양자수박물관 존속돼야 한다 관리자 2020-10-16 22373
180 강원도 무형문화재 전통자수장 1호(김순덕씨) 관리자 2020-10-14 3208
179 [영상] 강릉자수 알리기 "강릉 싸람들" 동영상소개 관리자 2020-10-13 22312
178 [기사글] “강릉 대표 규방문화공간 지켜달라”(강원일보) 관리자 2020-10-12 22329
177 “자수와 보자기 ‘세계 브랜드’로 만든 문화전도사”(고 허동… 관리자 2020-10-07 2759
176 [영상] MBC 강원영동(TV), 강릉자수 서포터스 시명운동시작 관리자 2020-10-06 22148
175 [기사글] “국내 유일 동양자수박물관 폐관 안된다”(강원도민일… 관리자 2020-10-05 21567
174 [기사글] MBC강원영동: 동양자수박물관 존속되어야 관리자 2020-10-04 20538
173 [라디오] MBC 강원영동(라디오 동서남북) 동양자수박물관 시사… 관리자 2020-09-28 21052
172 [영상] 뷰티풀 강릉, 오감여행 무사히 마쳐 (폐막영상) 관리자 2020-09-28 20546
171 [영상] 강릉자수, 이제는 브랜드화해야 관리자 2020-09-25 20832
170 코로나 이후 생태적 전환 관리자 2020-09-15 21022
169 "강릉자수" 사라질 위기, 지역자원화해야 한다 관리자 2020-09-14 20911
168 “강릉자수 도시 브랜드화 필요”(강원일보) 관리자 2020-09-14 20624
167 [강릉]자수명장 김현희씨 초대전 `오색 빛깔의 산책'(2011.… 관리자 2020-09-12 3120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