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동아시아문화도시의 의미

작성일
16-07-23 12:48
작성자
관리자
조회
5,347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동아시아문화도시는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통해 매년 국가별 대표 문화도시를 선정하여 ‘동
아시아의 의식, 문화교류와 융합, 상호문화의
이해’ 정신을 실천하고자 상호 간 문화교류 행사
를 개최하는 것입니다.


한.중.일간에 냉전체제가 종식되고 경제활동과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동아시아 3국간에 문

화교류를 강화하고 심화하기 위해 매년 각국에

서 1개도시를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선정해 오고

있다.


전통문화의 역사가 깊고 문화예술활동이 활발

한 지역도시가 대상이고 이와 더불어 문화예술
에 대한 미래비전과 문화창조역량에 대한 전문
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선정되고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는 현재 광주, 청주, 제주도가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되어 왔다. 금년에는 대구와 전

주를 비롯한 몇몇 중요도시가 선정사업에 도전하

고 있다.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선정되면 매년 순서에 의해

돌아 가면서 1개도시가 문화교류를 향한 특별한

주제를 내걸고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문화교류에 대한 단순한 구호나 개인적인 차원을

뛰어 넘어 지역도시간에 조직적이고 창조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공동의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개발

을 지향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행사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맞추어 문화예술계

에 종사하는 3국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시

민,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축제마당의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매년 활동도시와 참여규모가 커지면서 금년부터

는3국간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류의 활성화

와전문화를 위해서 각국에 상설적인 공동사무국

을 개설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한.중.일 동아시아국가는 전통적으로 수많은 전란

의 애환을 겪으면서 다양한 문화예술의 역사를 공

유하여 왔다. 종교, 철학, 문학, 민속, 문자, 공예

등 다양한 문화예술영역에서 상호간에 영향을 주
고 받았다.


한.중.일 동아시아국가는 17-18세기 이전 2-3천년

동안에는 세계에서 가장 풍요롭고도 문화가 융성

한 지역으로서 문화다양성과 창조성의 찬란한 꽃

을 피워 왔다.


19세기에 접어 들면서 서구열강의 제국주의에 편

승한 일본제국주의 전쟁으로 인하여 동아시아 3
국은 세계대전의 와중에 휩싸이고 수많은 인명피
해와 더불어 무분별한 문화재파괴와 약탈이 자행
되면서 엄청난 전쟁의 상흔을 입었다.


전후 한.일 국교정상화와 더불어 미.소간의 냉전

체의 해소, 개혁개방적인 사회주의국가로 중국이

이행되면서 동아시아 한.중.일국가간에는 경제와

문화의 교류와 협력이라는 새로운 동반자시대가

열렸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시작된 동아시

아문화도시 선정사업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

을 향한 새로운 교두보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참여국 상호간에 과거의 비극적인 역사에 대한 확
고한 인식을 바탕으로 상호 신뢰와 존중이 전제되
어야 될 것이다.


안중근의사의 동북아평화론과 김구선생의 문화

강국론은 우리들에게 많은 역사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동아시아문화도시 문화교류와

협력의 항구적인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한 훌

륭한 사상적 대안이 될 것이다. 새삼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향한 문화의 중요성을 일찍이 설

파안 민족의 지도자이자 선각자이신 두분의 혜

안과 통찰력에 감탄하고 머리를 숙이게 된다.


동양자수박물관의 설립정신은 동아시아 암흑

기에 안중근의사와 김구선생이 추구하였던 동

아시아  평화와 공동번영을 향한 포용과 다양

성의 문화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목록
전체215개, 현재3/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1507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868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4200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7253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8135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975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8506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8685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1428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1575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1740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1768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2505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2471
155 기프트샵 관리자 2017-05-07 5163
154 백자달항아리와 자수 관리자 2017-05-06 4955
153 자수랑 놀자 관리자 2017-05-05 4786
152 자수와 겨울이야기 관리자 2017-05-03 4939
151 자수의 빛깔, 오방색 관리자 2017-05-02 5081
150 부귀화, 모란꽃자수 관리자 2017-05-01 5241
149 박물관은 설치미술이다 관리자 2017-04-27 5001
148 자수에 담긴 닭의 해 관리자 2017-01-29 4954
147 무궁화삼천리자수 관리자 2016-08-15 7980
146 포켓몬의 성공신화 관리자 2016-08-03 5418
145 창조적인 공예도시의 전제조건 관리자 2016-07-24 5547
144 동아시아문화도시의 의미 관리자 2016-07-23 5348
143 사임당, 빛의 일기 관리자 2016-07-23 10880
142 전통문화와 아트마케팅 관리자 2016-02-27 5921
141 어머니의 집밥 관리자 2016-02-18 5928
140 강릉자수와 문화올림픽 관리자 2016-02-14 4697
139 한국전통자수:신화, 이미지, 스토리 관리자 2016-02-10 6069
138 미인송과 성황당 관리자 2015-10-11 6840
137 전통:재해석, 재발견, 재창조 관리자 2015-10-07 5621
136 구도심상권의 재생: 강릉 곶감전과 점집골목 관리자 2015-10-03 6543
135 도자기자수병풍의 추억 관리자 2015-10-03 6032
134 전통공예의 단절과 회복 관리자 2015-09-16 5843
133 특수성과 보편성:장욱진과 김환기 관리자 2015-09-06 5670
132 건명원 관리자 2015-08-30 5986
131 전통과 현대의 융합 관리자 2015-08-28 5903
130 전통문화:가치창출과 가치혁신 관리자 2015-08-19 5905
129 왜 한국미인가? 관리자 2015-08-04 5972
128 한국자수의 재발견 관리자 2015-07-17 5895
127 스토리 브랜드 관리자 2015-07-17 5513
126 고미술수집의 기준 관리자 2015-07-16 5839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