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작성일
24-05-06 07:43
작성자
관리자
조회
2,898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유희순, 전통자수의 유물재현 및 응용, 개정증보판, 2024.04)

 

  한국자수는 더 이상 과거속의 유물이 아니다. 현재 활발하게 진화중이며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고 있다어느 미술영역 보다 독창적인 문양디자인과 화려한 색채인문학적인 스토리로 가득차 있다. 한국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의 보고이며 미래미술의 희망이다. 세계속의 한류를 이끌어 갈 킬러콘텐츠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자수에 대하여 많은 고정관념과 편견이 우리 미술계를 지배하고 있었다평범한 규방공예이자 문화재가치가 부족한 예술분야로 폄하되어  왔다. 다행이도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국자수박물관 허동화관장님과 많은 원로 자수작가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한국자수는 많은 국내외전시를 통하여 독자적인 예술분야로서 그 우수성과 독창성에 대하여 세계적인 찬사와 평가를 받았다.

 

  한국자수에 대한 인식과 위상은 많이 높아 졌으나 가야 할길은 아직도 멀고 해결해야 할 숙제는 산적해 있다. 한국자수에 대한 기초적인 학술연구는 아직도 미진하고 연구성과는 빈약하다.

 

  구체적으로 자수문양디자인에 대한 조형성분석색채와 염색연구조형상징물에 대한 해석과 스토리연구 등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시대별지역별테마별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하다자수분야는 물론이고 다양한 예술영역의 창작자와 연구자를 위하여 자수유물원형을 기반으로 심층적인 연구도록도 지속적으로 발간되어야 한다.

 

  한국자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유물소장가, 박물관학술단체와 연구자들 상호간에 활발한 협력과 협업이 진행될 수 있는 분위기와 여건의 조성이 절실하다. 한국자수에 관련된 전문가들(학계, 작가, 박물관, 소장가. 업계, 정부 등)이 중심이 되어 한국자수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소통과 공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자수학회(가칭)”의 발족을 제안해 보고 싶다.

 

  이러한 학술적인 만남을 통하여 한국자수에 대한 의미있는 연구성과와 발전방안이 꾸준히 정리되고, 축적되어 질 때 한국자수는 비로서 저변확대는 물론이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있는 새로운 동력을 얻을 수가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하루아침에 발전되지 않는다경쟁력있는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이테리 등 문화콘텐츠강국들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초인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에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은 물론이고 작은 연구성과에도 인정과 평가를 하여 주는 사회적인 인식과 개방적인 연구풍토가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꽃을 피울  있는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한국자수의 가치를 잘 보전하고 전승하기 위한 기능보유자의 노력도 매우 중요하지만 한국자수는 더 이상 과거라는 문화유산의 영역에만 안주하고 머물러 있을 수 없다

 

  타 예술분야와의 활발한 협업과 융합에 의한 다양하고 실험적인 창작활동을 통하여 한국자수의 예술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확대함으로써 세계속의 한류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이를 위하여 우리 정부와 관련학계의 전톡적인 성원과 함께 한국자수 관련 종사자들의 많은 분발과 창의적인 노력도 함께 경주되기를 소망해 본다.

 

                                                                                                     2014. 04.10

 

                                                                                        강릉자수박물관장 안영갑

 

목록
전체215개, 현재3/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1598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899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4239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7325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8215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8049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8565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8772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1498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1651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1824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1855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2571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2551
155 기프트샵 관리자 2017-05-07 5180
154 백자달항아리와 자수 관리자 2017-05-06 4961
153 자수랑 놀자 관리자 2017-05-05 4793
152 자수와 겨울이야기 관리자 2017-05-03 4949
151 자수의 빛깔, 오방색 관리자 2017-05-02 5093
150 부귀화, 모란꽃자수 관리자 2017-05-01 5251
149 박물관은 설치미술이다 관리자 2017-04-27 5008
148 자수에 담긴 닭의 해 관리자 2017-01-29 4965
147 무궁화삼천리자수 관리자 2016-08-15 7991
146 포켓몬의 성공신화 관리자 2016-08-03 5434
145 창조적인 공예도시의 전제조건 관리자 2016-07-24 5554
144 동아시아문화도시의 의미 관리자 2016-07-23 5355
143 사임당, 빛의 일기 관리자 2016-07-23 10905
142 전통문화와 아트마케팅 관리자 2016-02-27 5930
141 어머니의 집밥 관리자 2016-02-18 5933
140 강릉자수와 문화올림픽 관리자 2016-02-14 4702
139 한국전통자수:신화, 이미지, 스토리 관리자 2016-02-10 6078
138 미인송과 성황당 관리자 2015-10-11 6853
137 전통:재해석, 재발견, 재창조 관리자 2015-10-07 5631
136 구도심상권의 재생: 강릉 곶감전과 점집골목 관리자 2015-10-03 6552
135 도자기자수병풍의 추억 관리자 2015-10-03 6040
134 전통공예의 단절과 회복 관리자 2015-09-16 5857
133 특수성과 보편성:장욱진과 김환기 관리자 2015-09-06 5682
132 건명원 관리자 2015-08-30 5996
131 전통과 현대의 융합 관리자 2015-08-28 5912
130 전통문화:가치창출과 가치혁신 관리자 2015-08-19 5921
129 왜 한국미인가? 관리자 2015-08-04 5984
128 한국자수의 재발견 관리자 2015-07-17 5906
127 스토리 브랜드 관리자 2015-07-17 5523
126 고미술수집의 기준 관리자 2015-07-16 5848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