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전통:재해석, 재발견, 재창조

작성일
15-10-07 06:22
작성자
관리자
조회
5,533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지속적인 전통의 현대화, 세계화를 위해서
는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이를 통한
재발견, 재창조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진행
되어야 한다.

전통에 대한 연구과정에서 발굴된 새로운 
연구결과는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의미를 찾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기존해석이 부인되거나 부분적으로 수정
되기도 하고 새로운 해석이 추가 되기도
한다.

전통의 재창조는 전통에 대한 올바른 재
해석과 더불어 이를 통한 새로운 사실과 
의미가 재발견될 때 용이해 진다.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시대의 환경
이나 흐름, 의식의 변화, 기술이나 학문
적인 발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최근에 재창조라는 말이 문화계에서 유
행과 시류에 편승하여 타당한 근거와 혁
신적인 노력없이 남발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용어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된
다.

전통의 단순한 재구성이나, 피상적인
변화만으로 진정한 의미의 재창조를
구현할 수 없다. 통찰력있는 연구와
해석이 수반되고 창조적인 노력이 주
어 질 때  비로서 심화된 변화가 가능
해 진다.

올바른 재창조는 결코 쉬운 길이 아
니다. 수많은 예술가들이 보여준 고
난과 시련의 예술적인 삶속에서 진
실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다.
 



목록
전체215개, 현재3/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894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286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553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432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306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151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7678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7800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528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0684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0827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0939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1613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1573
155 기프트샵 관리자 2017-05-07 5049
154 백자달항아리와 자수 관리자 2017-05-06 4850
153 자수랑 놀자 관리자 2017-05-05 4686
152 자수와 겨울이야기 관리자 2017-05-03 4828
151 자수의 빛깔, 오방색 관리자 2017-05-02 4966
150 부귀화, 모란꽃자수 관리자 2017-05-01 5125
149 박물관은 설치미술이다 관리자 2017-04-27 4894
148 자수에 담긴 닭의 해 관리자 2017-01-29 4845
147 무궁화삼천리자수 관리자 2016-08-15 7869
146 포켓몬의 성공신화 관리자 2016-08-03 5311
145 창조적인 공예도시의 전제조건 관리자 2016-07-24 5436
144 동아시아문화도시의 의미 관리자 2016-07-23 5247
143 사임당, 빛의 일기 관리자 2016-07-23 10686
142 전통문화와 아트마케팅 관리자 2016-02-27 5833
141 어머니의 집밥 관리자 2016-02-18 5825
140 강릉자수와 문화올림픽 관리자 2016-02-14 4623
139 한국전통자수:신화, 이미지, 스토리 관리자 2016-02-10 5967
138 미인송과 성황당 관리자 2015-10-11 6734
137 전통:재해석, 재발견, 재창조 관리자 2015-10-07 5534
136 구도심상권의 재생: 강릉 곶감전과 점집골목 관리자 2015-10-03 6451
135 도자기자수병풍의 추억 관리자 2015-10-03 5942
134 전통공예의 단절과 회복 관리자 2015-09-16 5758
133 특수성과 보편성:장욱진과 김환기 관리자 2015-09-06 5582
132 건명원 관리자 2015-08-30 5903
131 전통과 현대의 융합 관리자 2015-08-28 5817
130 전통문화:가치창출과 가치혁신 관리자 2015-08-19 5815
129 왜 한국미인가? 관리자 2015-08-04 5886
128 한국자수의 재발견 관리자 2015-07-17 5816
127 스토리 브랜드 관리자 2015-07-17 5440
126 고미술수집의 기준 관리자 2015-07-16 5763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