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작성일
24-05-06 07:43
작성자
관리자
조회
2,293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유희순, 전통자수의 유물재현 및 응용, 개정증보판, 2024.04)

 

  한국자수는 더 이상 과거속의 유물이 아니다. 현재 활발하게 진화중이며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고 있다어느 미술영역 보다 독창적인 문양디자인과 화려한 색채인문학적인 스토리로 가득차 있다. 한국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의 보고이며 미래미술의 희망이다. 세계속의 한류를 이끌어 갈 킬러콘텐츠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자수에 대하여 많은 고정관념과 편견이 우리 미술계를 지배하고 있었다평범한 규방공예이자 문화재가치가 부족한 예술분야로 폄하되어  왔다. 다행이도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국자수박물관 허동화관장님과 많은 원로 자수작가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한국자수는 많은 국내외전시를 통하여 독자적인 예술분야로서 그 우수성과 독창성에 대하여 세계적인 찬사와 평가를 받았다.

 

  한국자수에 대한 인식과 위상은 많이 높아 졌으나 가야 할길은 아직도 멀고 해결해야 할 숙제는 산적해 있다. 한국자수에 대한 기초적인 학술연구는 아직도 미진하고 연구성과는 빈약하다.

 

  구체적으로 자수문양디자인에 대한 조형성분석색채와 염색연구조형상징물에 대한 해석과 스토리연구 등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시대별지역별테마별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하다자수분야는 물론이고 다양한 예술영역의 창작자와 연구자를 위하여 자수유물원형을 기반으로 심층적인 연구도록도 지속적으로 발간되어야 한다.

 

  한국자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유물소장가, 박물관학술단체와 연구자들 상호간에 활발한 협력과 협업이 진행될 수 있는 분위기와 여건의 조성이 절실하다. 한국자수에 관련된 전문가들(학계, 작가, 박물관, 소장가. 업계, 정부 등)이 중심이 되어 한국자수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소통과 공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자수학회(가칭)”의 발족을 제안해 보고 싶다.

 

  이러한 학술적인 만남을 통하여 한국자수에 대한 의미있는 연구성과와 발전방안이 꾸준히 정리되고, 축적되어 질 때 한국자수는 비로서 저변확대는 물론이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있는 새로운 동력을 얻을 수가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하루아침에 발전되지 않는다경쟁력있는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이테리 등 문화콘텐츠강국들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초인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에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은 물론이고 작은 연구성과에도 인정과 평가를 하여 주는 사회적인 인식과 개방적인 연구풍토가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꽃을 피울  있는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한국자수의 가치를 잘 보전하고 전승하기 위한 기능보유자의 노력도 매우 중요하지만 한국자수는 더 이상 과거라는 문화유산의 영역에만 안주하고 머물러 있을 수 없다

 

  타 예술분야와의 활발한 협업과 융합에 의한 다양하고 실험적인 창작활동을 통하여 한국자수의 예술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확대함으로써 세계속의 한류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이를 위하여 우리 정부와 관련학계의 전톡적인 성원과 함께 한국자수 관련 종사자들의 많은 분발과 창의적인 노력도 함께 경주되기를 소망해 본다.

 

                                                                                                     2014. 04.10

 

                                                                                        강릉자수박물관장 안영갑

 

목록
전체215개, 현재5/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897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294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559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440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320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160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7689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7811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587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0737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0886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0958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1624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1635
95 일본 녹차 가게 - 나카무라 토키치 안영갑 2013-08-16 5514
94 아름다운 가게, 금박연(한국) 안영갑 2013-08-09 6099
93 예술과 감상 안영갑 2013-08-07 5655
92 100년 가게의 성공의 조건 안영갑 2013-08-06 5688
91 100년을 향한 한국 전통가계의 위기와 희망 안영갑 2013-08-06 5694
90 백년의 가게가 주는 교훈 안영갑 2013-08-05 5484
89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시대 안영갑 2013-07-30 5143
88 아름다운 마무리와 새로운 출발 안영갑 2013-04-28 5476
87 선교장 관장님의 우리박물관 나들이 최민 2012-12-09 5213
86 길과안내 최민 2012-11-18 5128
85 4남매 최민 2012-11-08 5178
84 영국의 스토리텔링 클럽 안영갑 2012-09-16 6662
83 유물원형은 창조의 원천 안영갑 2012-09-15 5514
82 기록이 없는 유물들 안영갑 2012-08-09 5214
81 할머니의 눈물 안영갑 2012-08-09 5562
80 돌아갈 고향이 있다는것이... 이현옥 2012-07-28 5445
79 문화 유산과 스토리텔링 안영갑 2012-07-28 5540
78 강릉수보 안영갑 2012-07-13 6446
77 전통문화와 관광 안영갑 2012-07-08 5565
76 비틀스와 리버플 안영갑 2012-07-05 5934
75 자수속에서 찾은 어머니의 품 관리자 2012-07-02 6209
74 영동 할머니의 기도 안영갑 2012-06-24 6724
73 뉴욕대학 박사학위 논문에 조명된 강릉수보 안영갑 2012-06-23 5913
72 무형문화재와 전승제도 안영갑 2012-06-21 5537
71 박물관의 유물과 컨텐츠 안영갑 2012-06-20 5481
70 지방의 자존심 안영갑 2012-06-19 5513
69 생명의 아픔 안영갑 2012-06-10 5728
68 동양자수의 심미적 특성 안영갑 2012-06-06 5894
67 자수 꽃밭에서 안영갑 2012-06-02 5998
66 살아 있는 박물관 안영갑 2012-06-01 5711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