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작성일
24-05-06 07:43
작성자
관리자
조회
2,282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유희순, 전통자수의 유물재현 및 응용, 개정증보판, 2024.04)

 

  한국자수는 더 이상 과거속의 유물이 아니다. 현재 활발하게 진화중이며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고 있다어느 미술영역 보다 독창적인 문양디자인과 화려한 색채인문학적인 스토리로 가득차 있다. 한국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의 보고이며 미래미술의 희망이다. 세계속의 한류를 이끌어 갈 킬러콘텐츠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자수에 대하여 많은 고정관념과 편견이 우리 미술계를 지배하고 있었다평범한 규방공예이자 문화재가치가 부족한 예술분야로 폄하되어  왔다. 다행이도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국자수박물관 허동화관장님과 많은 원로 자수작가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한국자수는 많은 국내외전시를 통하여 독자적인 예술분야로서 그 우수성과 독창성에 대하여 세계적인 찬사와 평가를 받았다.

 

  한국자수에 대한 인식과 위상은 많이 높아 졌으나 가야 할길은 아직도 멀고 해결해야 할 숙제는 산적해 있다. 한국자수에 대한 기초적인 학술연구는 아직도 미진하고 연구성과는 빈약하다.

 

  구체적으로 자수문양디자인에 대한 조형성분석색채와 염색연구조형상징물에 대한 해석과 스토리연구 등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시대별지역별테마별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하다자수분야는 물론이고 다양한 예술영역의 창작자와 연구자를 위하여 자수유물원형을 기반으로 심층적인 연구도록도 지속적으로 발간되어야 한다.

 

  한국자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유물소장가, 박물관학술단체와 연구자들 상호간에 활발한 협력과 협업이 진행될 수 있는 분위기와 여건의 조성이 절실하다. 한국자수에 관련된 전문가들(학계, 작가, 박물관, 소장가. 업계, 정부 등)이 중심이 되어 한국자수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소통과 공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자수학회(가칭)”의 발족을 제안해 보고 싶다.

 

  이러한 학술적인 만남을 통하여 한국자수에 대한 의미있는 연구성과와 발전방안이 꾸준히 정리되고, 축적되어 질 때 한국자수는 비로서 저변확대는 물론이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있는 새로운 동력을 얻을 수가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하루아침에 발전되지 않는다경쟁력있는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이테리 등 문화콘텐츠강국들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초인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에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은 물론이고 작은 연구성과에도 인정과 평가를 하여 주는 사회적인 인식과 개방적인 연구풍토가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꽃을 피울  있는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한국자수의 가치를 잘 보전하고 전승하기 위한 기능보유자의 노력도 매우 중요하지만 한국자수는 더 이상 과거라는 문화유산의 영역에만 안주하고 머물러 있을 수 없다

 

  타 예술분야와의 활발한 협업과 융합에 의한 다양하고 실험적인 창작활동을 통하여 한국자수의 예술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확대함으로써 세계속의 한류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이를 위하여 우리 정부와 관련학계의 전톡적인 성원과 함께 한국자수 관련 종사자들의 많은 분발과 창의적인 노력도 함께 경주되기를 소망해 본다.

 

                                                                                                     2014. 04.10

 

                                                                                        강릉자수박물관장 안영갑

 

목록
전체215개, 현재6/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894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283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549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430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303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149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7675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7795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528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0682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0825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0937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1611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1570
65 사임당 어머니와 지킴이 관리자 2012-04-19 5268
64 왜 동양자수인가 안영갑 2012-03-17 6906
63 추억의 석보당 안영갑 2012-03-13 6233
62 자개와 자수 안영갑 2012-03-11 6342
61 근대 사진 엽서 안영갑 2012-03-02 6463
60 근대 자수 작가 황인원 안영갑 2012-03-01 6500
59 춘설과 송학자수 안영갑 2012-02-29 6072
58 전시실 음악 안영갑 2012-02-26 6251
57 느림의 미학 안영갑 2012-02-25 6392
56 골동가계 주인들 안영갑 2012-02-24 5620
55 목인과 보나 안영갑 2012-02-23 6290
54 신비의 궁수 "괘석과 사군자" 안영갑 2012-02-22 6289
53 박물관 리모델링 안영갑 2012-02-21 6045
52 조선의 왕후용 용보 안영갑 2012-02-20 6223
51 밸드릿지 안영갑 2012-02-19 5756
50 쟉쿨레 안영갑 2012-02-18 5825
49 엘리자 베스 키스 안영갑 2012-02-18 5923
48 선물문화의 천국 일본의 후쿠사 안영갑 2012-02-17 6775
47 조선의 흉배 안영갑 2012-02-16 6926
46 규방여인의 벗, 거울보와 경대보 안영갑 2012-02-15 6310
45 신사임당의 초충도 자수 안영갑 2012-02-15 6940
44 유일한 남성공예, 안주 수 안영갑 2012-02-14 6776
43 사랑의 선물, 강릉 색실누비 안영갑 2012-02-13 6376
42 추상의 미학, 강릉 수보자기 안영갑 2012-02-12 6282
41 꽃버선과 버선본집 안영갑 2012-02-12 6279
40 영.미소녀의 꿈, 샘플러 안영갑 2012-02-11 6027
39 색동 조각보의 미학 안영갑 2012-02-11 6034
38 근대 회화자수의 탄생 안영갑 2012-02-11 6412
37 횃대보의 추억 안영갑 2012-02-10 6293
36 전시실속의 각시인형 안영갑 2012-02-10 6034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