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신사임당의 초충도 자수

작성일
12-02-15 13:12
작성자
안영갑
조회
6,940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유교가 성행했던 조선시대에 기녀를 제외한
신사임당과 같은 많은 규방여성들은 공개적인
예술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시대의 한계를 뛰어 넘어 시.서.화는 물론이고
자수공예에서 신사임당은 찬란한 규방예술의
꽃을 피웠다.

율곡이나 정철, 송시열과 같은 조선의 유명한
사대부들은 자신의 언행록에서 아낌없는
칭송을 하였다.

신사임당의 집안에 전해오는 유품만을 보아도
예술적 솜씨와 기량이 매우 출중함을 짐작할
수가  있다. 다행이도 지금 그 유물들이
강릉 오죽헌.시립 박물관에 잘 보존되고 있다.

신사임당이 남긴 "사친"(일명: 어머니 그리워)시에서도
침선이나 자수에 대한 간절한 소망과 애정이 잘 표현
되어 있다. 그 만큼 자수와 같은 침선활동에 조예가
매우 깊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신사임당이 남기 유물은 초서 글씨 이외에 초충도
그림이 유명하다. 야생화와 그 밑에 서식하는 작은
미물인 풀벌레들, 수박과 오이등이 등장한다. 더운
여름날 미물들의 왕성한 생명활동이 생생하게 잘
묘사되어 있다.

초충도 자수는 초충도의 밑그림을 바탕으로 신사임당
이 자수를 놓으신 걸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그
작품이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국가 보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작품의 영인본을 통해 진본의 아름다운
모습에 유일하게 접근할 수가 있다. 영인본이 우리
박물관에 귀하게 모셔져 있다.

60-70년대 초 강릉지방에서는 초충도 밑그림을 바탕으로
자수 전문공방에서 혼수용으로 초충도 수병풍이 인기가
있었다. 혼기가 다된 딸을 두고 있는 부모들 사이에
병풍계가 유행하였다고 한다. 또한 강릉은 초충도 자수의
전국적인 전파지가 되었다.

검은 공단에 놓은 보물로 지정된 초충도 자수는 초충도
민화에 비해 대범한 필선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세세한 묘사는 생략하면서 야생화, 풀벌레, 나비, 수박,
오이등이 마치 살아 숨쉬는 것처럼 꿈틀거린다. 역동적인
자연의 힘을 느끼게 한다.

신사임당은 프랑스의 작가 플로베르 처럼 우리나라
최초로 여성특유의 섬세한 감각으로 자연을 묘사한
자연주의 화가이자 공예작가인 셈이다.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화려한 민화그림이나
궁중화보다 평범한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생화와 풀벌레와 같은 자연의 미물들을
사랑하였다.  오늘날 환경의 위기시대를 예감한
위대한 예언자이기도 하다.
목록 수정 삭제
전체215개, 현재6/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894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286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553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432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306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151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7678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7800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528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0684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0828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0939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1613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1573
65 사임당 어머니와 지킴이 관리자 2012-04-19 5268
64 왜 동양자수인가 안영갑 2012-03-17 6907
63 추억의 석보당 안영갑 2012-03-13 6233
62 자개와 자수 안영갑 2012-03-11 6342
61 근대 사진 엽서 안영갑 2012-03-02 6464
60 근대 자수 작가 황인원 안영갑 2012-03-01 6500
59 춘설과 송학자수 안영갑 2012-02-29 6075
58 전시실 음악 안영갑 2012-02-26 6252
57 느림의 미학 안영갑 2012-02-25 6392
56 골동가계 주인들 안영갑 2012-02-24 5620
55 목인과 보나 안영갑 2012-02-23 6290
54 신비의 궁수 "괘석과 사군자" 안영갑 2012-02-22 6289
53 박물관 리모델링 안영갑 2012-02-21 6045
52 조선의 왕후용 용보 안영갑 2012-02-20 6223
51 밸드릿지 안영갑 2012-02-19 5756
50 쟉쿨레 안영갑 2012-02-18 5825
49 엘리자 베스 키스 안영갑 2012-02-18 5923
48 선물문화의 천국 일본의 후쿠사 안영갑 2012-02-17 6775
47 조선의 흉배 안영갑 2012-02-16 6926
46 규방여인의 벗, 거울보와 경대보 안영갑 2012-02-15 6311
45 신사임당의 초충도 자수 안영갑 2012-02-15 6941
44 유일한 남성공예, 안주 수 안영갑 2012-02-14 6776
43 사랑의 선물, 강릉 색실누비 안영갑 2012-02-13 6377
42 추상의 미학, 강릉 수보자기 안영갑 2012-02-12 6283
41 꽃버선과 버선본집 안영갑 2012-02-12 6279
40 영.미소녀의 꿈, 샘플러 안영갑 2012-02-11 6027
39 색동 조각보의 미학 안영갑 2012-02-11 6035
38 근대 회화자수의 탄생 안영갑 2012-02-11 6412
37 횃대보의 추억 안영갑 2012-02-10 6293
36 전시실속의 각시인형 안영갑 2012-02-10 6035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